본문 바로가기
영화 감상문

<식스 센스> 두 번 보게 만드는 영화 (스포O)

by life738 2023. 6. 14.

식스센스

 

장면이 다르게 보인다

말콤이 귀신이라는 사실을 알고 다시 보면 몇몇 장면이 다르게 보인다. 말콤은 콜에게 귀신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콜은 말콤에게 아내와 이야기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서로의 문제를 해결해준 이후 콜은 말콤에게 "이젠 선생님을 만나지 못하겠죠?"라고 묻는다. 이 말은 서로에게 다르게 해석된다. 콜은 말콤이 귀신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아내와 이야기하는 방법을 알려줬으니 말콤은 아내와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라질 것이라는 사실을 안다. 콜은 오늘이 말콤을 보는 마지막 날인 것을 알기 때문에 슬픈 표정을 지으며 다시 볼 것처럼 인사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말콤은 자신이 귀신이라는 사실을 아직 모른다. 그래서 "이젠 만나지 못하죠?"라는 질문에 "우리가 나눠야 할 얘기는 다 한 것 같구나. 이젠 네 곁에 있는 가까운 사람과 대화해."라고 대답한다. 아동 심리 상담 의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이 끝났고, 이젠 서로 일상으로 돌아가자는 의미이다. 정신과 의사로서 아이들을 상담해주고 이별하는 것이 익숙해 보이는 모습으로, 이별을 앞둔 것처럼 슬픈 표정은 아니다.

말콤의 아내가 레스토랑에서 말콤의 말을 무시하다가 "결혼기념일 축하해."라고 말하고 나가버리는 장면도 다시 보인다. 말콤의 아내는 남편이 죽은 후에도 홀로 레스토랑에 가 결혼기념일을 챙긴 것이다. 심지어 집에서도 결혼식 당시의 비디오를 틀어 놓고 남편을 그리워한다.

 

 

말콤이 귀신이 된 이유

무엇이 말콤을 원한을 가진 귀신이 되어 돌아다니게 만들었을까?

말콤은 무엇 때문에 귀신이 되어 세상에 남아있게 되었을까? 가정에 성실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죄책감이나 빈센트에 대한 죄책감일 것이다. 아마 가정에 대한 죄책감보단 빈센트에 대한 죄책감 때문일 것이다. 영화의 여러 장면에서 드러난다. 빈센트에게 총을 맞는 장면에서 아내가 빈센트를 껴안으며 울지만, 말콤은 "빈센트..."라고 말하며 죽는다. 보통은 아내 이름을 부르는 클리셰(또는 본능)를 따르지만 말콤은 죄책감에 빈센트의 이름을 부른다.

영화의 초반부에 아내는 말콤이 시에서 받은 상을 보며, 지금까지 바빴지만 앞으론 가족에 성실하겠네라는 식으로 말한다. 분위기를 보면 부부의 사이가 안 좋은 것이 아니라,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바빴던 남편에게 투정을 좀 부리는 분위기이다. 이는 영화의 마지막에 말콤이 아내에게 "당신이 뒷전이었던 적 없다. 한 번도. 사랑해."라고 말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바빴던 것이지, 사랑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아내 또한 남편이 죽은 지 1년이 지나서도 결혼식 비디오를 틀어놓고 자거나, 결혼 반지를 빼지 않은 것에서 남편을 사랑했음을 알 수 있다.

 

 

반전의 활용

반전 영화 하면 보통 식스센스와 유주얼 서스펙트를 대표로 떠올린다. 두 영화 모두 영화가 끝나기 10분도 채 안 남은 때에 반전이 공개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반전이 공개되기 전까지의 전개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식스센스는 관람객이 반전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관람하지 않는다. 영화가 다루던 주된 갈등 중 하나인 말컴과 아내의 갈등이 해결되려는 순간에 예상치 못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반전을 준다. 그러나 유주얼 서스펙트는 관람객이 처음부터 반전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관람한다. 카이저 소제가 누구인지 추리하며 보다가, 반전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음에도 그 반전에 놀란다.

두 영화의 흥행 이후 반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영화가 늘어났다. 유주얼 서스펙트에서 영감을 얻은 영화는 그나마 낫다. 반전(범인)을 추리하며 관람하면 되기 때문이다. 식스센스에서 영감을 얻어 영화를 만들 때 흔히 하는 실수가 있다. 반전에만 집중하는 것이다. 마지막 10분에 나오는 반전에만 신경 쓰고 그 앞의 내용은 대충 만드는 실수를 한다. 그러나 식스센스는 마지막 10분 없이도 충분히 재밌는 영화이다. 반전에 놀라기 위해선 마지막 10분 이전까지의 여정이 재밌어야 한다. 어차피 전개가 재미없는 반전 영화는, 반전을 알고 다시 보게 만들지 않는다. 반전을 위해 숨겨둔 디테일들을 다시 보게 하려면 무엇이 중요한지 알아야 한다.

댓글